ssid에 사용자의 집에 설치된 무선 인터넷 이름을 넣어주고, psk에 무선 인터넷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micro sd 카드를 제거해서 라즈베리파이에 꽂아준다.이제 50% 이상 완료되었다.
pc에 putty라는 프로그램을 하나 더 설치해야 한다. "PuTTY는 SSH, 텔넷, rlogin, raw TCP를 위한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는 자유 및 오픈 소스 단말 에뮬레이터 응용 프로그램이다." 1)
음..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간단히 생각하면... 리눅스 계열의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라즈베리파이가 리눅스 기반이니, 라즈베리파이에 원격으로 접속해서 몇 가지 설정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 pc에서 putty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pc에 putty를 설치한 후,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Host Name과 Port에 라즈베리파이로 연결하기 위한 ip 주소와 포트를 입력한다.
라즈베리파이 원격 접속 putty
중요한 point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된 라즈베리파이와 유선 인터넷으로 연결된 pc가 동일한 공유기로 연결되어 있다면, 라즈베리파이의 ip만 알면 된다.
라즈베리파이의 ip를 아는 방법은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공유기에 연결된 핸드폰 등의 ip 주소를 찾아서 끝자리 숫자를 바꿔가며 입력해보는 방법이 있다. 휴대폰이 172.30.1.9 라는 ip를 할당받은 경우, "172.30.1.1 ~ 172.30.1.99"을 하나씩 입력해보면 찾을 수 있다. 다소 시간이 걸리지만 찾아야 한다.
무선 인터넷 신호를 발사하는 공유기와 유선 인터넷으로 연결된 pc가 각자 벽에서 나오는 인터넷 선에 연결되어 있다면(무선 공유기는 거실에 있고, pc는 방에 설치된 경우 등), 포트포워딩을 해줘야 한다.